반응형

FINANCIAL/Interest Rate. 4

[금리] 기준금리 vs 가산금리 쉽게 이해하기

경제 뉴스를 보다 보면 흔하게 자주 등장하는 단어 중에 하나가 금리입니다. 그리고 금리에 대해 여러 종류가 있는데 그중에서도 기준금리와 가산금리가 대표적입니다. 오늘은 금리에 대해서 정리해 봤습니다. 금리 금리는 빌려준 돈이나 예금에 붙는 이자 또는 그 비율을 말합니다. 즉, 돈의 가치를 시간에 따라 표현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금리가 높으면 돈의 가치가 높고, 금리가 낮으면 돈의 가치가 낮습니다. 쉽게 말해서 금리는 '돈의 가치'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금리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은행이 정하는 기준금리, 은행이 고객에게 적용하는 대출금리나 예금금리, 국채나 회사채 등의 채권의 수익률 등이 있습니다. 금리는 경제 상황과 수요와 공급에 따라 변동됩니다. 기준금리 기준금리란 한 ..

[한국은행 기준금리] 3.5%로 동결 7차례 연속 금리인상 드디어 멈췄다

2023년도 2월 한국은행 기준금리 연 3.5%로 동결 경기침체를 막을 것인가 vs 물가상승을 잡을 것인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23일 오전 9시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현재 3.5%인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기준금리가 연속적으로 7번 상승을 하다가 드디어 잠시 스톱했다. 기준금리 동결하게 된 이유 이번에 한국은행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경기침체 우려 때문이다. 우리나라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전분기대비 수출 부진 등에 이미 마이너스로 돌아섰고, 심지어 올해 1분기까지 역성장이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수출 감소, 물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2월 소비자심리지수(CCSI) 역시 1월보다 0.5포인트 떨어졌다. 오늘 한국은행 기준금리 동결 결정으로 미국..

[기준금리] 연 3.5% 한국은행 사상 첫 7차례 연속 인상

한국은행이 13일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올린 연 3.5%로 결정했다. 지난해 4·5·7·8·10·11월에 이어 사상 첫 7차례 연속 인상이다. 한은은 이날 서울 태평로 한은 본관에서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현재 연 3.25%인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인상한 연 3.5%로 상향 조정했다. 이에 따라 기준금리는 2008년 12월(연 4%) 이후 14년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올라왔다. 한은이 기준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간 것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여전히 5%대에 머무는 등 '물가 중심'의 통화정책을 운용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12월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5.0% 올랐다. 상승률은 같은 해 7월(6.3%) 정점을 찍은 뒤 둔화하고 있지만,..

2023년도 한국은행 기준금리 전망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이란? 통화신용의 운영관리에 관한 정책의 수립을 담당하기 위하여 한국은행에 설치된 합의제 정책결정 기구. 한국은행 총재는 금융통화위원회 의장을 겸임하며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쳐 대통령이 임명하고, 부총재는 총재의 추천으로 대통령이 임명한다. 임명직 위원들은 각 추천기관의 추천을 받아 대통령이 임명한다. 임명직 위원의 임기는 4년이며 전원 상근 한다. 매월 둘째, 넷째 목요일에 정기회의를 개최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수시로 임시회의를 개최한다. 통화신용정책에 관한 사항을 심의·의결하며, 주요 내용에는 한국은행권 발행에 관한 사항, 금융기관의 최저지급준비율, 한국은행의 금융기관에 대한 재할인, 기타 여신업무의 기준 및 이자율, 한국은행의 공개시장에서의 증권매매 및 통화안정증권 발행·상환 등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