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진료비 지불 제도는 '행위별수가제' 와 '포괄수가제'가 있고, 추가적으로 '신포괄수가제' 까지 있습니다. 오늘은 이 부분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행위별수가제 대부분의 진료비 지불에 사용되는 행위별 수가제는 의료기관에서 제공한 의료서비스별로 가격을 정해 사용량에 따라 진료비를 지불하는 제도입니다. 그래서 동일한 질병이라도 검사나 약제 등 처방이 다르다면 진료비가 달라집니다. 1. 높은 퀄리티의 의료서비스 다양한 의료서비스를 통해 높은 퀄리티의 진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2. 공정성 확보 의료서비스별로 가격을 책정하기 때문에, 각각의 환자가 받은 치료만큼 비용이 공정하게 분담됩니다. 3. 의료서비스 제공자의 수익 유지 의료비가 정해져 있는 포괄수가제와 달리 진료한 의료서비스만큼 비용을 ..